전체 글18 브랜드의 색상이 왜 중요한가? 2023. 3. 30. 브랜드 개발 프로세스 브랜드 파워 - 연상력 아주 빠르게 나타남. 브랜드 - 회사 제품(상품)이 무엇이라 인식되어야 하는가? 그렇게 인식 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생각의 틀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과거에는 기업 내 분업이 확실하여 연구부서에서 개발하고, 제조부서에서 생산하고, 영업부서에서 판매했다. 그리고 제품이 다 개발되고 생산된 다음에 광고를 하는 것이 마케팅의 역할이었다. 하지만 공급이 넘쳐나는 오늘날은 달라져야 한다. 진열대에 놓인 물건 이상의 가치를 창조하는 행위와 그 가치를 고객이 인수하도록 만드는 행위가 동시에 설계되어야 기업은 상품을 통해 시장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분업이라기 보다는 협력적 리더십을 요구한다." 세스 고딘 - 보라빛 소가 온다 "브랜드 구축작업은 기업의 영혼을 구축하는 여정이.. 2023. 3. 30. 왜 주식인가? #3 저평가된 기업들 시장의 비효율성을 이용해라 한국 주식시장에서 큰 돈을 벌 기회가 있다는 것은 시장이 아직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주식시장이 효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현재 시장의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더 좋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럴 때 혼신을 다해서 찾아야 하는 기업이 바로 높은 기업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인 인기를 얻지 못하는 기업이다. 기업가치대비 저평가된 기업 말이다. 회사가 투자도 배당도 하지 않고 현금을 적정한 수준보다 너무 많이 갖고 있으면 ROE (Return of Equity)가 낮아진다. 기업이 수익금을 주주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하지 않고 쌓아 둠으로써 ROE가 지속적으로 낮아진다면, 주가 상승 여력 역시 줄어들 수밖에 없다. (.. 2023. 3. 30. 왜 주식인가? #2 종목 발굴의 두 가지 방식 - 톱 다운, 보텀 업 Top down 방식은 앞으로 한국이 어떤 분야에서 경쟁력이 있고 유망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그 분야의 회사들 중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회사를 골라 투자하는 것이다. Bottom up 방식은 국제 경제상황이나 각 사업별 분석보다는 회사 하나하나에 연구를 집중해 투자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어떤 산업의 전망을 보고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기업의 가치나 전망을 감안해서 투자하는 것이다. 특정 회사의 성공 여부는 그 기업이 속해 있는 산업보다는 다른 변수에 더 크게 달려 있다고 본다. 산업보다 경영진의 자질이 훨씬 중요하다. 기업수익성이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다. PER - 현재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수치. 주가가 1주 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보여.. 2023. 3. 30. 이전 1 2 3 4 5 다음